최근 글로벌 증시가 크게 흔들리면서 VIX 지수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공포 지수’라고도 불리는 이 지표는 투자자들이 향후 시장 변동성을 얼마나 우려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치입니다. 4월4일 기준 VIX 지수가 무려 45를 넘었는데 이것은 실로 대단한 수치입니다. 과거 9/11테러, 플래시크래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면전 상황급의 극도의 불안상태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VIX 지수가 무엇인지, 과거 VIX 지수가 45를 넘었을 때가 언제였는지 알아봅시다.
VIX 지수란 무엇인가요?
VIX(Volatility Index) 지수는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발표하는 S&P 500 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기대치를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VIX가 높을수록 투자자들은 앞으로 시장이 크게 요동칠 것이라고 예상하고,
낮을수록 시장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높은 상태라고 판단합니다.
현재 VIX 지수 현황 (2025.04.04 기준)
- 현재 지수: 45.31
- 전일 대비 상승률: +50.93%
- 8개월 만의 최고치 기록
- 주요 원인: 미국-중국 무역 갈등 격화
최근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 갈등이 다시 심화되었고,
이로 인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왜 중요한가요?
VIX 지수가 40 이상으로 올라갔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극심한 불확실성을 느끼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실제로 같은 시기 S&P 500 지수는 연초 대비 약 11% 하락하였고, 나스닥 지수는 약세장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향후 추가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 VIX가 높을수록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 시장의 큰 하락 이후에는 반등의 기회도 존재합니다.
- 현금 비중을 늘리거나, 변동성에 강한 자산군에 주목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과거 VIX 지수가 45를 넘었던 시기들
VIX(Volatility Index)는 투자자들이 느끼는 시장 변동성에 대한 공포 수준을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20 이하일 때는 시장이 안정적이고, 40 이상이면 극심한 불안 상태로 해석합니다.
역사적으로 VIX 지수가 45를 넘은 순간은 많지 않지만, 모두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큰 충격이 있었던 시점이었습니다.
1. 2008년 리먼 브라더스 파산 – 글로벌 금융 위기
- 시기: 2008년 9월
- VIX 지수: 최고 약 80.86
- 주요 원인: 리먼 브라더스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특징: 글로벌 증시가 패닉에 빠지며 VIX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은행 간 신뢰가 무너지며 신용 경색이 발생했습니다.
2. 2001년 9·11 테러
- 시기: 2001년 9월
- VIX 지수: 약 44~45 부근까지 급등
- 주요 원인: 뉴욕 세계무역센터(WTC) 테러
- 특징: 미국 주식시장이 테러 직후 4일간 휴장했고, 개장 후 S&P500이 단기간에 급락했습니다. 심리적 충격이 매우 컸던 사건입니다.
3.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 시기: 2020년 3월
- VIX 지수: 최고 약 85.47
- 주요 원인: 전 세계적 팬데믹 선언, 경제활동 전면 중단
- 특징: 글로벌 증시가 연쇄적으로 급락했고, 공포심리가 극에 달했습니다. 미국 증시는 단기간에 ‘서킷 브레이커’를 여러 차례 발동했습니다.
'해외주식 > 해외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이틀만에 16% 폭락, 관세에 많은 영향을 받을까? (3) | 2025.04.07 |
---|---|
애플의 주가가 이틀만에 16%하락! 그 원인인 중국 보복 관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07 |
4월2일 해방의날, 트럼프의 관세 발표! 테슬라, 엔비디아 주가행방은? (3) | 2025.04.03 |
또다시 110달러 선 뚫린 엔비디아, 역대급 하락 무슨일일까? (2) | 2025.03.30 |
2차 하락 시작?? 5%폭락한 엔비디아 무슨 이슈가 있을까? (1) | 2025.03.27 |